커뮤니티

발달장애인의 기능 향상 및 행동문제 치료 전문기관입니다.

자료실

[의학/전문자료]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에 관한 다양한 가설 및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를 리뷰한 논문입니다

관리자 │ 2023-05-02

HIT

197

본 행동발달증진센터 의료진이 발표한 논문으로,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에 관한 다양한 가설 및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를 리뷰하였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논문 원문을 다운로드 받으실 수 있습니다.


How Well Do We Understand Autistic Savant Artists: A Review of Various Hypotheses and Research Findings to Date (jkacap.org) 



[논문에서 제시한 현재까지의 관련 가설 및 연구 요약] 


1) 아직은 여러 가지 재능을 한 가지 이상 소유하고 있는 전체 서번트 자폐인에 대한 연구가 주된 연구였다. 그러나,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에 대한 연구는 비록 많지는 않지만 꾸준히 이어져왔다.


2)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의 예술 활동의 특성으로 "outsider art"의 특성이 주목받아왔다.


3)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의 출현에 대한 근접 원인의 하나로 "역설적 기능 촉진(paradoxical functional facilitation)" 이 주목받고 있다.


4)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의 출현에 대한 고고학 등 다양한 영역과 관점에서의 이론 제시가 있어왔다. 특히 고대 호모 사피엔스(ancient Homo sapiens) 혹은 네안데르탈인(Neanderthals)의 동굴 벽화(cave art) 등을 통해 "superior visual perception hypothesis"와 "Hmmmmm(Holistic, multi-modal, manipulative, musical, mimetic) hypothesis" 등이 제시되었다. 그리고, 네안데르탈인과 초기 호모 사피엔스의 일부 간 공존 속에서 게놈 이입(genomic introgression)이 일어날 수 있었고, 현대인의 일부에서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 보유 및 이와 관련되는 뇌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특성들이 ASD 및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의 출현의 궁극 원인일 가능성이 크다.


5)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만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는 아직 적은 편이지만,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6) 일반적인 전체 서번트 자폐인의 서번트 특성의 증가가 자폐인의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의 저하 등과 연관이 있는지, 아니면 서번트 자폐인은 비서번트 자폐인과 사회적 의사소통 등에서는 큰 차이가 없는지 등에 대한 연구자들의 엇갈린 의견이 있다. 이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는 향후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에 대한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만을 대상으로 한 심리적, 인지적 연구들은 많지 않지만 아직은 예술적 재능 특성이 domain-specific한 특성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예술적 서번트적 특성이라는 것은 local processing 우세성이라는 능력만이 특히 관계된다 할 수는 없으며, 뇌 속에서 일어나는 local processing을 자신의 활동(action)을 통해 예술작품으로 구성하기 위한 motor control 능력이 관계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8) 일부 미적 경험에는 정신화 기제 등이 중요하여 비서번트 자폐인의 미적 체험이 취약할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미적 경험에서는 비서번트 자폐인의 미적 체험 능력도 낮지 않으며, 오히려 어떤 연구에서는 미적 평가와 활동 능력이 더 우수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몇몇 연구는 비서번트 자폐인이 미적 체험에서 자폐적 서번트 예술가와 유사한 수준의 재능을 잠재적으로 지니고 있을가능성도 보여주었다.


이전글 [의학/전문자료] 자폐성 장애인의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
다음글 [의학/전문자료) 자폐스펙트럼장애의 거울뉴런(mirror neuron) ...